우리가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백엔드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의 구성과 그 시스템들이 움직이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.
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제품군은 개념적으로
- Infra@cloud
- Data@could
- Application@cloud
로 구분한다. 기조연설이 끝나고 나서, 각 제품군별로 3개의 트랙으로 나누어 세션들이 진행되었으며, 난 Infra@cloud 에 참석했다. 대부분의 청중들은 각 기업의 IT 관리자였다.
지식노동자들은 어떻게 일하는가?
지식노동자들의 일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선택하는 것이다. 올바른 선택을 위해 데이터가 필요하고, 데이터는 데이터소스로 부터 받을 수 있다. 방대한 데이터에서 유용한 데이터를 선택하고 해석하고 사용하는 일일 것이다.
‘클라우드’ 란 무엇인가?
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를
필요에 의해 유연하게 확장될 수도 축소될 수도 있는 컴퓨팅 리소스들—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데이터베이스, 네크워크—의 풀
로 정의한다.
과거에는 기업들이 데이터센터를 보유했었다 (비용↑, 통제가능성↑). 그 이후엔 소유는 하되, 외부 전문 관리 업체에 맡겼었다 (비용↓, 통제가능성↓). 반면 클라우드는 컴퓨팅 자원 및 데이터센터를 소유하지 않고, 빌려 쓰는 개념이다 (비용↓, 통제가능성↑).
클라우드란 갑자기 생긴 기술이 아니다. SaaS, IT Governance, … 등 많은 기술이나 개념들이 존재해 왔었고, 그 기술들을 융복합해서 클라우드라고 부르기로 한 것이다. 따라서, 클라우드라는 용어는 일시적인 유행일 수 있으나, 클라우드를 위한 인프라와 그 위에서 동작하는 서비스가 갑자기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.
분명, 마이크로소프트, IT 관리자가 생각하는 클라우드, 일반 사용자가 생각하는 클라우드의 정의는 분명이 다르다.